본문 바로가기

음악공부

IIm-V-I 진행에 대해 좀더 알아보자

2-5-1(IIm-V-I)은 재즈 뿐만이 아니라 수많은 음악에서 일반적인 진행입니다. 이 당연한 코드 진행에 대해서 좀더 이해하고 싶어하고 궁금해 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. 이번 게시물에서는 II-V-I에 대해서 한번 더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.


하나씩 코드를 뜯어서 살펴보면, IIm는 supertonic, V는 dominant, I은 tonic 코드라고 합니다. 일반적으로 재즈음악에서는 7을 포함하여 연주하기 때문에 IIm7-V7-IMaj7혹은 IIm7-V7-IMaj6로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

다이어토닉 코드의 역할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수 있는데, 각 토닉, 도미넌트, 서브도미넌트로 나눌수 있으며, 여기에 속하는 V,I을 제외한 IIm는 서브도미넌트의 대리로 볼때-서브도미넌트(IV)의 대리로 수퍼토닉(IIm)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구성음이 유사하기 때문이죠.-,  IV(서브도미넌트)가 아니라 IIm(수퍼토닉)인가 하는 의문을 가질수도 있습니다. 



그 의문에 대한 답을 생각해 봅시다.


2-5-1이 음악에서 이렇게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cadence에 있습니다. IIm7-V7-IMaj7 진행에서는 각 진행의 흐름에서 코드의 구성음의 3도는 다음 코드의 7도로 이어지며, 7도는 반음 하강하여 다음 코드의 3로 이어집니다. 또한 코드의 root가 5도 상승의 이동을 하게 됩니다. 이 cadence가 코드의 흐름을 좀더 자연스럽게 느껴지게 합니다.


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된다는 것은 안전하게 사용이 보장된 것이지만, 이 반복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변형을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.

다음 몇가지 일반적인 예를 그 화성적인 분석과 함께 설명합니다. 


  • IIm는 II7으로 대체되어 더욱 불협적인 느낌을 더하기도 하고, IIm를 임시적인 전조의 토닉으로 취급하여 IIIm–VI–IIm–Ⅴ–I으로 변형하기도합니다. IIIm-VI-IIm는 IIm를 Im로 생각할때 IIm-V-Im이 되기 때문입니다.
  • 또, IIm-V-I의 V7을 트라이톤 서브로 대체하여 IIm-bII7-I으로 변형할 수도 있습니다. 이 트라이톤 서브가 가능한 이유는 bII7와 V7이 동일한 3도, 7도 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(서로 역전되어 있습니다)
  • 앞서 설명한 IIIm-VI-IIm-V-I과 트라이톤 대체를 함께 사용하여 변형을 할수도 있습니다. 이것이 IIIm7-bIII7-IIm7-bII7-Imaj7 진행입니다. 
  • 또. IIm을 II7으로 대체하는 것 또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이 III7-bIII7-II7-bII7-I7 진행입니다.
  • 둘을 연결하여 IIIm7-bIII7-IIm7-bII7-Imaj7-III7-bIII7-II7-bII7-I7으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.
  • IIm-V-I을 IVm-bVII-I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백도어 진행도 있습니다



마이너 키에서 2-5-1 진행에 대해 짧게 설명하자면, 마이너 키에서 2는 IIm7b5로 하프 디미니쉬드 세븐스라고도 부릅니다. 이것은 내추럴 마이너의 다이어토닉 코드입니다.